NFT 거래 서비스, 어디까지 알아봤니? ② 분할, 공동 구매, 임대

NFT의 가격이 높아지면 2가지 문제가 발생합니다.
- NFT 구매자의 높은 진입 장벽
- NFT 소유자의 유동성 부족
이번에는 NFT 구매에 있어 개인 부담을 줄이고 유동성을 높이기 위한 솔루션 3가지를 살펴보겠습니다.
- NFT 분할
- NFT 공동 구매
- NFT 임대
NFT 분할
쉽게 생각할 수 있는 유동화 방법은 분할(fractionalization)입니다. 소유하고 있는 NFT를 100등분하여 토큰으로 나누는 방법입니다. 기존 미술작품, 부동산 등에서도 이뤄지고 있습니다. 퍼즐처럼 한 조각씩 소유할 수도 있지만, 그것보다는 ERC-20 토큰으로 소유권을 분배합니다. 이렇게 분할된 NFT는 F-NFT라고도 불립니다.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 NFT(ERC-721)를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잠급니다. (스테이킹)
- 이름, 개수 등 미리 작성한 메타데이터에 따라 ERC-20 토큰을 발행합니다.
- 발행된 ERC-20 토큰을 고정가격 또는 경매 방시으로 판매합니다.
가장 유명한 사례는 The Doge NFT입니다. The Doge NFT는 도지코인의 마스코트 Shiba Inu의 원본이미지입니다. The DOge NFT는 Pleasure DAO가 1696 eth(당시 약 400만 달러)에 구매한 후, 170억개(정확히는 16,969,696,969개)로 분할화하여 $DOG 토큰을 판매하였습니다. 현재 시가총액 추정치는 약 12,000 eth 정도 입니다. 이후 Feisty Doge NFT도 분할 매매가되어 화제가 되기도 했습니다.

일반적으로 F-NFT의 장점은 크게 4가지 정도로 요약됩니다.
- 높은 유동성: 판매가 어려운 높은 가격의 NFT를 일부 판매할 수 있어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을 통해 NFT 자체의 가치에 대해 대략적인 파악도 가능합니다.
- 이익 창출: NFT 판매자는 중간 거래 수수료를 얻을 수도 있습니다.
- DeFi 사용 가능: F-NFT는 일반적으로 ERC-20 토큰이며 DEX 등을 통해 다양한 금융 상품과 결합할 수 있습니다.
- 다수 청중: 크리에이터 입장에서 더 많은 청중에게 다가갈 수 있습니다.
다만 리스크도 존재합니다. 가장 대표적인 문제는 재구성입니다. 이미 판매된 토큰은 회수가 불가할 수 있으므로, F-NFT를 100% 소유하지 않더라도 원본 NFT를 재구성할 수 있는 방법을 구상해야 합니다.

예시로 특정 F-NFT가 소각되었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현재는 바이아웃 경매(Buyout auction) 가 가장 보편적으로 이뤄지고 있습니다. 간단한 예시입니다.
- 현재 1000 eth가치를 지닌 NFT가 있습니다.
- 외부 사용자가 전체를 구매하기 위해 500 eth을 제시하며 경매가 시작됩니다.
- 해당 가격에 F-NFT를 판매하고 싶지 않은 소유자는 더 많은 제시를 통해 판매되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 해당 과정에서 경매가 성사되면, 제시한 500 eth을 기존 소유자에게 분배합니다.
이 과정에서 500 eth를 한 번에 지불할 수 있는 F-NFT 소유자가 없을 가능성이 큽니다. 기존 F-NFT 소유자가 헐값에 해당 권리를 뺏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최소 판매 가격에 대한 투표 등을 프로토콜에서 진행하고 이렇게 진행된 F-NFT 컬렉션만이 바이아웃 경매가 가능합니다.
또 다른 문제점으로 F-NFT는 증권성 여부와 관련되어 법적인 문제도 현재 논의되고 있습니다. 이는 NFT도 마찬가지로 문제가 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아직은 논의 단계입니다.
이 외에도 유틸리티 권한, 에어드랍 등 추가 경제적 이익 분할 등 다양한 이슈가 남아있습니다. 이런 여러 문제에서도 NFT 분할을 제공하는 서비스는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분할 프로토콜 및 마켓으로는 Fractional.art와 Niftex가 있으며, unic.ly, Otis, Liquid Marketplace, NFT20, NFTx, Dibbs 등이 있습니다. 각 서비스 별 바이아웃 경매 또는 토큰 제공 방식이 다르니 사용 전에는 꼼꼼하게 살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NFT 공동 구매
두 번째 솔루션은 공동 구매입니다. 공동 구매는 불특정 다수 또는 이익 집단으로 나뉠 수 있습니다. 이익 집단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DAO 형태로 구성되며 다음과 같은 기능이 필요합니다.
- 공동 자본 관리: 공금을 포함하여 이익 분배와 손실 책임에 대한 방안
- 의사 결정 통합 및 선택: 투표 기반 결정 (구매, 판매, 발행, 구성원 추가 및 제거, 서명자 수 조정)
이를 위해 Gnosis Safe 등의 다중 서명 툴 등을 활용한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공동 구매 서비스는 Prysm이 있습니다. 이와 다른 방식으로 PartyBid는 그룹에 참여하여 구매를 동참할 수 있습니다. 공동 구매 이후에는 각 지불 금액과 순서에 따라 F-NFT를 분할하기도 합니다.

NFT 임대
요금을 받고 NFT를 빌려주는 임대(rent)도 하나의 해결책입니다. NFT 임대는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다음 예시가 있습니다.
- Game-Fi: 엑시인피니티(Axie Infinity)를 필두로 게임 아이템 등을 대여하는 서비스가 현재 진행되고 있습니다.
- Land-Fi: NFT 부동산 등을 임대하여 수익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
- Art: 예술 작품을 대여하여 갤러리에 대리 설치 등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임대에서 수익 분배는 여러 방식으로 이뤄집니다. 아래는 엑시인피니티의 장학생/장학금 시스템를 예시입니다.
- 엑시인피니티는 게임 과정에서 얻는 SLP 토큰을 얻고, 이를 거래소에 판매하여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구조입니다.
- 게임을 하기 위해서는 캐릭터 '엑시' 3마리가 필요합니다.
- (가장 유행할 당시) 엑시는 개당 50만원 이상이며, 3마리를 구매하기 위해서는 100만원 이상의 금액이 필요합니다.
- 개발도상국 사용자들 중에는 초기 시작 금액이 없을 수 있습니다.
- 캐릭터가 많은 팀 또는 개인은 이런 사용자를 대상으로 엑시를 대여해주고 수익(SLP)을 분배합니다.
- SLP 분배는 일반적으로 사용자 7, 운영자 3로 분배합니다.
- 이를 통해 운영자는 잉여 자산인 엑시를 운영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초기 자산이 없이 수익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
다만 엑시인피니티 장학금 운영은 스마트 컨트랙트가 아닌 개인 또는 팀 단위로 이뤄졌습니다. 운영자에 따라 분배가 불평등하게 이뤄질 수도 있는 구조였습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프로토콜이 나왔으며, 대표적으로는 지난 4월 ERC-4907(Rental NFT, ERC-721 User And Expires Extension)가 제안되어 지난 6월 해당 내용이 표준으로 지정되었습니다. 해당 프로토콜을 활용하여 앞으로 대출 및 임대가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대표적인 임대 프로토콜 서비스는 ReNFT, Vera, Yeild Guild Games, Merit Circle, IQ Protocol, Double가 있습니다. 프로토콜에 따라 담보 대출과 무담보 임대가 있으니 잘 살펴서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마치며
BNPL(Buy Now Pay Later, 선결제 후지불) 서비스도 하나씩 나오고 있으나 대중적인 플랫폼이 나오기에는 아직 이른 시장으로 보입니다. 추후 더 리서치를 해보고 좋은 내용이 있다면 포스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기존 금융 시장에 있는 다양한 시스템이 NFT 시장에 오는 것을 보면, 역시 Web2 금융에 대한 이해가 더 중요하다는 생각이 더욱 듭니다. 다음 포스팅에는 NFT 매매 및 거래에 사용하는 툴을 일부 소개해보겠습니다.
Reference
- NFTs too expensive? — 4 Ways to Lower Cost Barrier
- Fractional NFTs Explained — Benefits and Risks
- What Is NFT Rental and How Does It Work?
- [Fractional.art] Reserve Price — A Key Attribute of Fractional Vaults To Understand
- 5 Best Fractionalized NFT Examples For Creators
- What Is NFT Rental and How Does It Work?
- [Xangle] NFT를 분할 투자할 수는 없나요?
- [Paradigm] RIC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