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bin An

Subin An

Seoul
[LYNK-POP:THE 1st VR CONCERT aespa] Review: 메타버스가 미래다.
UX

[LYNK-POP:THE 1st VR CONCERT aespa] Review: 메타버스가 미래다.

회사에서 이번에 티켓을 제공하여 여자친구와 에스파(aespa) VR 콘서트를 다녀왔습니다. 일단 해당 무대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된 3가지 정도 이유가 있습니다. 1. 엔터 산업과 팬덤 비즈니스 에 대한 높은 관심 2. AR/VR에 대한 최근 경험(유니버셜 스튜디오 재팬)이 좋았으며, 이를 콘서트에 적용할 수 있을까에 대한 의문 3. 최애
10 min read
"영어"라는 벽을 넘기 위해
about

"영어"라는 벽을 넘기 위해

운이 좋게도 리스본 출장을 다녀왔습니다. 개인의 노력도 있지만 회사와 회사 많은 분들의 도움 덕분에 좋은 기회를 얻었습니다. 크게 3개의 행사를 다녀왔는데 해당 과정에서 가장 큰 걱정은 영어였습니다. 지난 출장의 영어에 대한 걱정이 단순히 첫 해외 출장이라는 부분에서 오는 불안감이었다면, 이번에는 "명확한 역할"이 있다는 점에서 걱정이 컸습니다. 누군가에게는 호들갑 처럼
16 min read
좋은 동료가 되기 위한 성장 가이드
productivity

좋은 동료가 되기 위한 성장 가이드

MBTI 맹신론자는 아니지만 저는 꽤 높은 비율의 P입니다. 즉흥적인 업무를 선호하고 계획적인 업무는 여전히 불편합니다. 이런 단점을 보완하고자 매번 주변 사람에게 많은 장점을 배우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기적으로 스스로 반성하며 개선하고자 정리해보았습니다. 아래 작성한 내용은 정답이 아닌 제가 나아가는 과정에서 도움이 되었고 지향하는 모습을 작성한 것입니다. 0. 일을 잘한다는 것에 대한
14 min read
이더리움에 기여하는 방법 (번역하기)
ethereum

이더리움에 기여하는 방법 (번역하기)

블록체인 생태계에 개발이 아닌 분야에서 기여하는 방법 중 하나는 번역입니다. 실제로 이런 오픈소스에 번역을 통해 첫 Contribution을 해보는 것은 좋은 사례로 많이 꼽히고 있습니다. 이더리움 공식 홈페이지 글을 볼 때마다 Translate 항목과 기여 항목이 있어 궁금했는데, 주말을 틈타 한 번 테스트 해보았습니다. 제 미흡한 번역본과 함께 각 절차에 대해 이미지도
3 min read
[월간 안수빈] 23년 3분기
about Featured

[월간 안수빈] 23년 3분기

매년마다 느끼지만 시간은 정말 빠르네요. 지난 회고를 작성하지 않았다면 지난 분기는 어떤 일을 했는지 기억하기 어려웠지 않을까 생각할 정도로 시간이 엄청 빠르네요. 정말 바빴지만 그만큼 많은 경험을 한 3개월이었습니다. 첫 출장부터 코로나 이후 첫 휴가 등 하나씩 이야기를 풀어보겠습니다. 시작에 앞서 이 많은 경험과 성장에 있어 언제나 도움을 주시는 Simon
22 min read
Ethereum Testnet (feat. Holesky)
ethereum

Ethereum Testnet (feat. Holesky)

Ethereum Testnet이란? TestnetFlavourGenesisLTSEOLStatusOlympicPoWQ1/2015NoQ3/2015DeadMordenPoWQ3/2015NoQ4/2016DeadRopstenPoWQ4/2016NoQ4/2022DeadKovanPoAQ1/2017NoQ4/2019DeadRinkebyPoAQ1/20171 yearQ2/2023EOLGoerliPoSQ1/20191 yearQ4/2023LTSSepoliaPoAQ4/20211 yearQ4/2026LiveHoleskyPoSQ4/20231 yearQ4/2028PlannedTBDPoAQ4/20251 yearQ4/2030Planned 이더리움 네트워크에서 테스트넷은 공식적으로 배포되기 전 여러 테스트를 할 수 있는 유사 환경의 네트워크입니다. 2015년부터 1~2년 주기로 테스트넷을 배포했고, 이더리움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3 min read
[월간 안수빈] 23년 2분기 (feat. 목표)
about Featured

[월간 안수빈] 23년 2분기 (feat. 목표)

어느덧 현 직장에서 일한지 1년이 되었습니다. 생각보다 시간이 정말 빠르네요. 어느정도 회사에서 제 역할을 찾으며 근래 보지 못한 지인들을 보곤 합니다. 그러면 지인이나 처음 인사하는 분들은 저에게 공통적으로 몇 가지 질문을 던지고는 합니다. 대표적으로 "앞으로 뭐하고 싶으세요? 목표가 뭐에요?"를 많이 듣습니다. 저도 이에 대해 명확한 답을 내리고자 2분기에는 적당한
12 min read
[안수빈의 시야] 2023 상반기 AI와 AI API 산업에 대하여
AI

[안수빈의 시야] 2023 상반기 AI와 AI API 산업에 대하여

여러 SNS를 통해 공유했으나 아카이빙용으로도 정리합니다. 총 3개의 글이고 각각의 큰 주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AI 산업의 버블과 그 중요성 2. AI 서비스의 근간이 될 팀은? 3. LLM 기반 API 산업에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서비스 관련하여 의견이 있다면 LinkedIn을 통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AI 산업의 버블과 그 중요성 [1]
13 min read
"철학은 어떻게 삶의 무기가 되는가"를 읽고
book

"철학은 어떻게 삶의 무기가 되는가"를 읽고

철학은 어떻게 삶의 무기가 되는가-불확실한 삶을 돌파하는 50가지 생각 도구(야마구치 슈 저 / 김윤경 옮김, mumentum)를 읽고, 2023.04.21 시작에 앞서 📚작년 말 강남역 교보문고에서 제목과 목차에 이끌려 산 책입니다. 도입부만 읽고 이사하며 완독을 못했는데, 오랜만에 손에 걸려 완독했네요. 저는 고민이 많은 편입니다. 종종은 필요 이상으로 많은 편인가
18 min read
"무인양품은 90%가 구조다"를 읽고
book

"무인양품은 90%가 구조다"를 읽고

무인양품은 90%가 구조다(마쓰이 타다미스 저 / 민경욱 옮김, mumentum)를 읽고, 2023.04.21 시작에 앞서 🤣연속으로 형 에게 선물받은 책입니다. 올해에만 한 6~7권 정도 받은 것 같은데 숙제 아닌 숙제네요.  해당 책은 MUJI로도 익숙한 무인양품의 본사인 (주)양품계획의 회장 마쓰이 타다미쓰의 저서입니다. 2001년 세이유에서 낙하산으로 무인양품 사장으로
8 min read
"승려와 수수께끼(The Monk and the Riddle)"을 읽고
book

"승려와 수수께끼(The Monk and the Riddle)"을 읽고

승려와 수수께끼(랜디 코미사 저 / 신철호 옮김, 이콘)을 읽고, 2023.04.17 🙂앞으로 짧게나마 독서 기록용으로 블로그 글을 남겨둘까 합니다. 간단한 기록이라 오타나 문맥이 이상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양해부탁드립니다. 시작에 앞서 성인이 된 이후 형이 종종 책을 선물해주고는 한다. 특히나 자기계발, 생산성, 창업 등의 공통 관심사도 많고
10 min read
[월간 안수빈] 23년 1분기
about

[월간 안수빈] 23년 1분기

벌써 2023년 1분기가 지났습니다. 회사, 외부 활동, 개인의 생활 측면에서 정리 겸 회고글을 남겨봅니다. 회사 VC에서 데이터는 어떻게 활용되는가? VC는 저에게도 낯선 조직이지만 개발자에게는 더더욱 낯선 조직일 것이라 생각됩니다. Data-Driven VC를 위해 데이터의 역할이자 Action Item은 다음과 같습니다. * 데이터 기반 프로젝트 및 회사 발굴(Deal Sourcing) * 신규 투자건 실사(Due
14 min read
[블록체인과 UX] 1편. UX란?
blockchain

[블록체인과 UX] 1편. UX란?

종종 블록체인 관련 글에는 "UX가 문제" 또는 "UX 개선을 통한 Mass Adoption" 등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UX가 과연 무엇인가"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아 여러모로 아쉬움이 남아, 짧게나마 UX에 대한 글을 틈틈히 써보려고 합니다. UX란 무엇일까? 시스템의 최종적인 목표는 무엇일까요? 다양하게 이야기할 수 있겠지만 다음과 같이 정의해볼 수 있습니다.
7 min read
핵심 성과 지표(KPI) 101
data analysis

핵심 성과 지표(KPI) 101

데이터는 어떤 방식으로 서비스에 도움을 줄 수 있을까? 게임, 모바일 앱 등 다양한 서비스에는 핵심 성과 지표(Key Performance Indicator)가 있습니다. 서비스가 계획 또는 목표를 성취를 확인할 수 있는 구체적 수치를 의미합니다. 성공을 측정함과 동시에 목표 지점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게임 같은 경우 “동시접속자 100만명!”을 달성하면
7 min read
Goodbye 2022, Welcome 2023
review

Goodbye 2022, Welcome 2023

벌써 5번째 회고네요. 올해는 유독 짧았던 1년이었지만 후회 없는 1년이었습니다. 올해 저와 함께 한 모든 분들에게 감사의 말을 전합니다. 지난 회고록 리스트 * Goodbye 2018, Welcome 2019 * Goodbye 2019, Welcome 2020 * Goodbye 2020, Welcome 2021 * Goodbye 2021, Welcome 2022 🎓 대학원을 마무리하다. 지난 7월 석박통합과정에서 석사과정으로 전환했습니다. 올해 대학원은 크게 3가지-(1)
20 min read
EIP는 누가 담당하나요? (feat. EIP-5069)
eip

EIP는 누가 담당하나요? (feat. EIP-5069)

해당 포스팅은 EIP-5069: EIP Editor Handbook과 관련 내용을 번역 및 재구성한 내용입니다. 원문은 다음 링크를 참고하면 됩니다. EIP editor “apprentice” handbook - HackMD--- tags:EIP --- # EIP editor “apprentice” handbook An Ethereum Improvement Proposal (EIP) is a dHackMD EIP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은 다음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EIP/ERC 간략 소개
8 min read
ERC-5313: Light Contract Ownership
eip

ERC-5313: Light Contract Ownership

이더리움 재단이 일을 빠르게 진행하네요. 이번 표준은 Ownership에 대한 간략한 버전입니다. 설명 해당 표준에서 말하는 Ownership은 컨트랙트 소유권을 의미합니다. 기존에는 ERC-173이 이 역할을 하고 있었습니다. ERC-173은 1개의 이벤트, 2개의 함수, ERC165 등을 통해 Ownership에 대해 확장가능하고 효율적이며 간단한 표준을 제안했습니다. 저자는 더 나아가 ERC-173의 인터페이스를 더 간략화하여 최소한의 Ownership을 정의합니다.
2 min read
ERC-5192: Minimal Soulbound NFTs
eip

ERC-5192: Minimal Soulbound NFTs

소울바운드 토큰(Soulbound Token, SBT)과 관련된 EIP가 처음으로 표준이 되었습니다. 간단하게 살펴보겠습니다. EIP-5192: Minimal Soulbound NFTsMinimal interface for soulbinding EIP-721 NFTsEthereum Improvement ProposalsEthereum Improvement ProposalsFINAL EIP-5192 - Minimal Soulbound NFTsAdd EIP-5192 - Minimal Soulbound NFTs by TimDaub · Pull Request #5192 · ethereum/EIPs · GitHubFellowship of Ethereum MagiciansTimDaub 설명 해당 표준은
3 min read
EIP-5528: Refundable Fungible Token Standard (에스크로 표준 제안)
eip

EIP-5528: Refundable Fungible Token Standard (에스크로 표준 제안)

이번 포스팅은 22.08.23에 제안된 EIP로 근래 커뮤니티에서 제안된 EIP 중 가장 흥미롭게 읽어 공유드립니다. 한줄요약: ERC-20 에스크로 거래 표준 제안 원문은 다음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EIP-5528: Refundable Fungible Token Standardpull request: https://github.com/ethereum/EIPs/pull/5528 Abstract This standard is an extension of EIP-20. This specification provides
4 min read
Creator fee 0%
opinion

Creator fee 0%

이전에 트위터에 작성한 타래를 블로그로 옮겨두었습니다. 1/ sudoswap 등 OTC 거래나 x2y2의 유동 로얄티는 이제 점점 확장될 것입니다. 그만큼 creator fee는 0%는 점점 표준이 될 것이라 예상합니다. 이유는 단순합니다. 현 NFT 생태계는 크리에이터의 지속성보다는 단기적 이익을 창출하고자 하는 투자자가 더 많으니까요. — ansubin.eth | HASHED (@subinium) August
4 min read
Dune Analytics를 여행하는 Wizard를 위한 안내서
dune analytics

Dune Analytics를 여행하는 Wizard를 위한 안내서

이전 포스팅에서는 온체인 데이터를 볼 수 있는 듄 애널리틱스를 소개했습니다. 이번에는 듄을 사용하기 위해 몇 가지 기본적인 가이드라인를 정리해보았습니다. 💡듄에서 활동하는 데이터 분석가를 Wizard라고 합니다.  듄을 사용하여 온체인 데이터 분석을 하기 위해 어떤 지식을 가지고 있어야 할까요? 저는 크게 핵심역량을 4가지라고 생각합니다. 1. 온체인 데이터에 대한 이해(생성과 구조) 2.
12 min read
Dune Analytics: 온체인 데이터를 좋아하세요?
dune analytics

Dune Analytics: 온체인 데이터를 좋아하세요?

지금은 크립토 생태계에서 리서치하고 있지만, 과거에는 데이터 분석을 주로 했습니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크립토 내 데이터 분석이 어떻게 이뤄지고 어떤 식으로 활용할 수 있을지 살펴보겠습니다. ⛓️블록체인과 데이터 온체인 데이터란? 블록체인의 특징 중 하나는 투명성입니다. 블록체인 상에서 이뤄지는 트랜잭션을 모든 사용자가 공유하고 살펴볼 수 있습니다. 블록체인 상에서 확인할 수 있는 데이터를
14 min read
ERC-4907: 소유권과 사용권 분리, 임대 가능한 NFT
erc

ERC-4907: 소유권과 사용권 분리, 임대 가능한 NFT

지난 6월 29일, NFT 임대 서비스 Double Protocol을 만든 EmojiDAO가 제안한 ERC-4907이 이더리움 개발팀에게 최종 승인을 받아 30번째 ERC 표준으로 등록되었습니다. ERC-4907의 명칭은 EIP-4907: Rental NFT, ERC-721 User And Expires Extension입니다. 대략적으로 임대, NFT 사용자, 만료 정도의 키워드로 살펴볼 수 있습니다. 해당 표준은 혁신일까요? 이 표준은 어떤 변화를 가져올까요? 새로운
13 min read